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꿈안꾸고 자는법, 꿈 안꾸고 싶어요 매일 꿈꾸는 이유??

by 동안연구실 2023. 2. 15.

안녕하세요? 오늘은 꿈안꾸고 자는 법, 꿈 안꾸고 싶어요 매일 꿈꾸는 이유를 주제로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방법은 실제 저의 경험에 의거한 것이며, 과학적으로 증명된것은 아님을 밝힙니다. 본격적인 이야기에 앞서 저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교대근무로 인해 일반적인 수면패턴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입니다. 이로 인해서 잠은 잘 못 자는 편이고 꿈을 매일매일 꾸었던 사람입니다.

 

꿈 안 꾸고 자는 법, 꿈 안 꾸고 싶어요, 매일 꿈꾸는 이유

일단 제가 했던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매일 악몽을 꾸었습니다. 정말 자는 동안은 미친 듯이 괴롭고 아침에 일어나면 특유의 찝찝함과 찌뿌둥함이 저를 괴롭게 만들었죠.

 

 

또한 꿈에서 악연과 악행으로 등장했던 인물들을 실재에서 보게 되며 묘하게 불편한 기분도 들기도 했습니다.

 

1. 침대의 위치 (잠잘떄 머리 두는 방향)을 바꿔보자.

제가 처음으로 꿈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했던 방법은 침대의 위치를 바꾸는 것입니다. 창문 쪽으로 머리를 두고 잤었는데 벽 쪽으로 침대 헤드를 바꾸었습니다.

 

그래서 꿈을 안 꾸게 되었냐고요? 아닙니다. 꿈을 꾸었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악몽을 덜 꾸고 일반꿈을 많이 꾸었습니다. 헤드 위치를 바꾼 것이 아주 소용이 없었던 것은 아니죠.

 

2. 스트레칭과 마사지로 몸을 최대한 이완시켜라

두번째로 제가 했던 방법은 스트레칭과 마사지입니다. 찾아보니 꿈을 꾸는 이유는 '숙면'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깊게 편안히 잠을 자지 못해서 인데요.

 

 

왜 깊이 못 자는가 이유를 제스스로 찾다 보니 제 몸상태가 뻣뻣하고 긴장이 제대로 풀리지 않아서 경직된 채로 잠을 들기 때문이 아닌가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그 이후 폼롤러와 마사지볼, 요가매트를 산다음에 집에서 심심할 때와 잠자기 전에 열심히 문질문질 하고 허리와 등을 중점적으로 마사지했습니다. 스트레칭 역시 엉덩이와 상체를 중심으로 최소 10분씩 했습니다.

 

저의 경우는 이 스트레칭과 마사지가 꽤나 효과를 받았습니다. 솔직히 악몽은 꾸는데 매일꾸던것이 이틀에 한번, 삼일에 한 번꼴로 줄었습니다.

 

확실히 몸을 이완시킨 다음에 잠에 드니까 잠을 잘 때 뭔가 묘하게 나른한 기분이 들게 되고 이것이 숙면으로 해주는 원인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3. 샤워시간을 바꾸는 것이 의외로 큰 도움이 된다.

세번째로 제가 했던 것은 '샤워시간을 바꾸는 것'이었습니다. 보통 저는 잠자기 직전에 샤워를 했습니다. 그런데 찾아보니 숙면에 들려면 체온이 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잠자기 직전에 뜨거운 물로 샤워하면 이 체온이 떨어지는 것에 방해가 되어 잠을 잘 못 든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잠자기 전 최소 1시간~2시간 전에 샤워를 했습니다.

 

그랬더니 잠잘 때쯤엔 충분히 몸이 정상체온으로 돌아왔고 훨씬 더 빨리 잠에 들 수 있었습니다.

 

4. 조명은 의외로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네번째로 제가 했던 것은 '조명을 간접등으로 바꾸는 것'이었습니다. 보통 저는 잠자기 직전까지 형광등(LED등)을 켜놓고 있다가 잠에 들기로 마음먹었을 때 등을 끄고 침대에 누웠습니다.

 

 

그런데 이러면 교감신경이 활성화된 채로 눕게 되어 자는데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이보다는 간접등(수유등, 나른하고 약한 노란 조명)을 1시간 전부터 켜두어 몸을 어둠의 세계로 적응을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훨씬 더 잠에 빨리들 수 있습니다.

 

5. 아련하고 잔잔한 음악은 뇌파를 안정시킨다.

마지막 다섯째로 제가 한 것은 잠자기 전에 아주 아련하고 평화로운 음악을 듣는 것이었습니다. 말 그대로 듣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감정적으로 센티해지는 그런 아련한 음악들입니다.

 

이것은 딱 정해진 것은 없고 취향껏 들으시면 되는데 위에 말씀드린 것처럼 교감신경을 안정시키고 부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잠들기 좋은 릴랙스 한 상태로 만들기 위함입니다.

 

6. 수면영양제가 일부 도움되긴 하나 맹신할 순 없다.

끝으로 저는 '수면영양제'라고 불리는 것들을 정말 많이 먹어봤습니다. 보통 한 달에 6~7만 원은 들어가게 되는데 저는 생각보다 효과를 못 봤습니다. 물론 플라세보 효과 탓인지 어쩔 때는 정말 효과를 본 것 같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비용이 만만치가 않았고 이것을 유지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무엇보다 이런 영양제를 먹지 않아도 되는 방법들을 찾고나서부터는 먹지 않게 되었습니다.

 

위에 다섯 가지 행동을 한 이후로 악몽을 아예 안 꾸게 된 것은 아니지만 일주일에 1~2회 정도로 많이 줄었습니다. 나머지는 저의 마음에 병에 달려있는 것 같으며, 제 처지가 좋아지면 자연스레 없어질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

멜라토닌의 기능 및 효능과 부작용까지 알아보기

 

멜라토닌의 기능 및 효능과 부작용까지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동안연구실입니다. 오늘은 멜라토닌 효능과 부작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멜라토닌은 우리의 수면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생체 호르몬입니다. 아시다시피 부족하게되면 숙면에

donganlab.tistory.com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