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동안연구실입니다. 오늘은 2018년 수능 성적표 제대로 보는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며칠 후면 성적표가 나올텐데요. 많이 긴장되고, 아무것도 손에 잡히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도 수능을 본 사람으로서 그 심정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수험생들은 잘 알고 있지만 학부모님들은 잘 모르실 수 있는 부분인 성적표 보는법에 대해 다뤘습니다. 참고해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1. 원점수
원점수는 말 그대로 원래의 점수로서 해당 과목별 배점을 순수하게 더하여 합산한 것입니다. 국어, 영어, 수학의 경우는 100점 만점이고, 과탐이나 사탐과목은 50점이 됩니다. 각 문항별로 배점이 있기 때문에 이 배점들을 그대로 더하면 원점수가 되게 됩니다.
예) 수학 3점 짜리 10개, 4점짜리 5개, 2점짜리 2개 맞았을시 점수 = 54점
2. 표준점수
다음으로 표준점수가 있는데요. 이 표준점수가 아주 중요합니다. 대학마다 다르지만 표준점수의 합으로 반영하는 대학이 있기 때무입니다. 이 표준점수가 나타내는 것은 다른 수험생과의 상대적 우위를 고려한 점수입니다.
쉽게말해 어려운 과목에 경우는 원점수대비 표준점수가 더 높게 나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원점수가 60점인데 표준점수가 60점 이상이라면 그 학생은 다른 수험생들 보다 그 과목을 잘 본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3. 백분위
세번째 항목은 백분위 인데요. 이 백분위가 나타내는 것은 해당 수험생보다 낮은점수를 받은 학생들의 비율입니다. 쉽게 말해 백분위가 80 이라면 해당 학생보다 점수가 낮은 학생들이 80퍼센트 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백분위는 높으면 높을 수록 좋습니다. 이 백분위에 따라 등급이 나뉘게 됩니다.
4. 등급
마지막 항목은 등급인데요. 이 등급은 앞서 말씀드렸던 백분위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지표입니다. 쉽게말해 백분위가 96이상이라면 1등급, 89~95까지 2등급, 77~88은 3등급.. 이런식으로 매겨집니다. 이 등급은 수시모집 최저학력 기준에서 많이 쓰이는 지표중 하나입니다.
조금 이해가 되셨나요? 성적표를 받은 후 대학 배치 상담등을 받거나 배치표를 볼때 이부분을 꼭 참고하셔서 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꼭 원하는 대학교에 합격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이상 2018 수능 성적표 제대로 보는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