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누구나 한 번쯤은 꿈꾸어봤을 롯데 잠실 시그니엘 월세 가격 후기 단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도 언젠가는 단 1개월이라도 이곳에서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데요.
아이돌그룹 동방신기 출신 연예인 '김준수'가 사는 곳으로 유명해진 시그니엘은 2017년 오픈 당시부터 엄청난 화제였습니다. 명실상부 대한민국 최고급 주거공간을 지향한다는 캐치프레이징으로 '럭셔리의 끝'을 찍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지금도 일반에서는 '시그니엘'이라는 단어는 '엄청난 부자'를 지칭하는 의미가 되었습니다.
시그니엘 월세는 얼마인가?
2023년 5월기준 가장 작은 평수 (약 70평) 기준으로2500만 원입니다. 보증금은 5억입니다. 약5년전만 해도 1,800만원대였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꽤 올라온 상태입니다. 그리고 조금 더 큰 평수는 보증금 10억에 3800만 원까지 갑니다. 월세만 낸다고 쳐도 1년에 3억 이상 내야 합니다.
매매가격은 약 150억 원으로 책정되어 있는데요. 확실히 '하이엔드'주거지 같은 경우 기본 100억 이상부터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청담동 최고급 빌라로 알려진 'PH129' 역시 약 150억 원에 매매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솔직히 주거 환경은 청담 PH129가 더 편리해 보이지만 '롯데타워 시그니엘'이라는 상징성이 주는 럭셔리함 때문에 가격대가 비슷한 것 같습니다.
잠실 롯데 시그니엘 관리비는 회사원 월급을 초과한다.
시그니엘 관리비는 기본이 최소 200만 원~250만 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객실 세대마다 관리비가 다릅니다. 다만 이 기본요금은 전기세, 방열비, 쓰리기 처리비 같은 개인 용도를 뺀 말 그대로 기본요금에 해당됩니다.
여기에 개인이 주거하면서 소비하는 것들을 합쳤을 때는 대부분 400만 원 언저리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4인가족 기준이니 아마 1인가구라면 300~350만 원은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관리비 자체가 일반 직장인 월급으로도 감당하기 힘든 수준입니다. 정말 말이 안 되는 그사세 자체.
시그니엘에 살려면 얼마를 벌어야 할까?
우선 시그니엘에 사는 사람들의 직업을 보면 거의 다 사업가였습니다. 요식업을 하거나 IT 쪽 기업체를 운영한다던가 자신만의 비즈니스를 가진 사람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의외로 연예인이나 유명인은 많이 살지 않습니다. 아무튼 일단 월세와 관리비만 해도 3천만 원이 넘어가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여기에 주거하려면 최소한 3천500만 원 정도는 있어야 하지 싶습니다.
월세 2500만 원짜리에 살려면 최소 3000만 원은 월수입이 있어야 가능할 것입니다. 물론 월 3천 버는 사람이 영끌해서 이곳에 들어올 이유는 '유튜버'가 아니고서야 그러지 않을 것입니다.
평균적으로 '월 1억'이상의 수입을 가진 사람들이 안정적으로 살아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거 어떤 사람이 시그니엘에 한번 살아보려고 들어왔다가 엄청난 월세에 2개월 만에 집을 뺐다는 얘기도 있죠.
시그니엘도 단점은 많다
이런 완벽한 럭셔리하우스에도 단점이 있다고 합니다. 일반 창문이 없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초고층이기 때문에 창문을 함부로 만들어놨다간 어떤 사고가 날지 모릅니다. 안전상의 이유 때문에 없는 게 가장 큰 부분일 텐데요.
그리고 롯데타워자체가 주거지를 완전히 분리시켜 놔서 중간에(주거지가 시작되는 층 로비에서) 엘리베이터를 한번 갈아타야 된다고 합니다.
어떤 사람들은 시그니엘에 보내줘도 안 간다고 합니다. 이유를 들어보니 초고층에 살게 되면 사람이 일종의 '고산병'에 걸린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진짜 '산소가 부족'하여 병이 생긴 다는 게 아니라 '땅의 기운'을 거의 받지 못하고 공중에 떠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그것이 자연적이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부 부자들은 돈이 있어도 일부러 시그니엘에 가지 않을 정도라고 합니다. 물론 시그니엘에서 만족스럽게 잘 사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니 어디까지나 개인적 의견이겠죠
장사의신 은현장 재산 학력 결혼 이혼 가족 여자
장사의신 은현장은 유튜버판 '백종원'으로 불리는 명실상부 자영업자의 '신'이다. 현재 유튜브 구독자수가 60만에 달하는 대형유튜버 이기도 하며,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명언제조기', '몬말인
donganlab.tistory.com
댓글